//1
드디어 우분투를 깔아서 본격적으로 투컴 생활을 시작해보자.
2020.12.05 - [딥러닝/개인 환경 구축 기록] - [ 자취방 워크스테이션 ] #2 화면 기본 세팅
#2와 같이 화면 세팅이 끝났다면 바로 시작할 수 있다.
시작하기전에
인터넷 세팅에 대해서 잠깐 언급하자면
당연히 두대 모두 인터넷이 잡혀있는 경우가 좋다.
그런데 일반 가정집에는
와이파이 공유기 1대가 연결된 메인포트만 들어오고
나머지 포트들은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컴퓨터와 공유기(라우터)와의 거리를 잘 측정해서
긴 길이의 렌선을 준비하거나
라우터에 더 이상 꽂을 자리가 없는 경우는
스위칭허브를 사용하면 된다.
자세한 네트워크 세팅은 #4에서 다루도록 한다.
//2 우분투 설치
리눅스는 우분투 서버 버전을 깔도록 하겠다.
여담으로 우분투는 '박애정신'이라는 뜻의 남아공어라고 한다.
'누구나 쓸 수 있는'이라는 의미로 쓰였으며
데스크톱 버전을 깔면 부팅할때
북소리가 '땅따랑' 들리는데
이게 남아공의 전통악기소리라고 한다. (신기)
리눅스에는 많은 버전이 있는데
솔직히 말하면 리눅스를 잘 모른다.
우분투는 가장 유명하고 그에 따라
활성화된 커뮤니티도 많아서 구글링에 이점이 높다.
또 업데이트나 모듈의 배포가 빠른것이 장점으로 알고 있다.
설치는 아래의 링크에서 할 수 있다.
링크로 가보면
가장 눈에 띄는 것은 LTS라는 약자인데
Long Term Support의 약자다.
이 말은 뜻 그대로
긴 기간동안 업데이트나 기타 서비스가 보장된다는 의미이다.
나는 석사입학할때 16버전을 썼고
새로 장비를 도입하면 서 18을 썼는데
2년 동안 무리없이 모든 일들을 진행할 수 있었다.
2020.12.06 현재는 20.10 버전이 LTS로 지원중이므로
이걸 받도록 한다.
저 초록색 버튼을 누르면 익숙한 창이 딱 나올줄 알았는데
옵션을 3가지 선택하라고 해서 약간 당황했다.
이번 버전 부터는 서로 다른 용도의 3가지 서버OS를 지원하는 모양이다.
우리는 클라우드나 데이터센터를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장 무난한 옵션3을 선택해 준다.
옵션3을 누르면 옵션3 버튼이 다운로드링크로 바뀐다.
이제 이러 누르면 자동으로 다운로드가 된다.
//3
왜 서버를 받느냐 하는 질문이 생길 수도 있다.
사실 서버를 꼭 받지 않아도 무관하다.
하지만 데스크톱 버전을 받을 경우
불필요한 번들이 많이 깔려서 용량을 잡아먹고
SSH와 같은 원격접속들을 수동으로 모두 설정해 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말 그대로 원격접속 없이 내 책상에서 사용하고자 하거나
서버가 아닌 로컬로 사용하는 버전의 OS이기 때문에
크게 추천하지 않는다.
지금은 딥러닝 워크스테이션을 만드는 과정이므로
딥러닝 계산에 필요한 것들 외에 다른 부분들은
신경쓰지 않도록 하자.
조금 시간이 걸리면 다운로드가 완료된다.
내 경우에는 9~10분 정도 걸린듯 하다.
//4
이제는 부팅장치로 사용할 USB저장장치가 필요하다.
컴퓨터는 전원 버튼을 누르면
가장 먼저 탐색할 저장장치를 고르고
그 저장장치에 깔려있는 OS나 OS설치파일을 탐색한다.
이 우선순위를 이용해서 2가지 운영체재를 컴퓨터에 깔아두고
바꿔가면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즉 어떤 방식으로든지 OS설치파일이 들어있는 저장장치를 만든 후
그 저장장치를 가장 우선으로 스캔하도록 하면
OS를 설치할 수 있다.
//5
각설하고 바로 만들어보자.
404가 뜨면 https로 들어가보자.
루푸스를 사용하자. (국룰)
사실 루푸스? 러푸스?
어떻게 읽는건지는 잘 모르겠다. 루후수?
우리가 우분투 홈페이지에서 받은 파일은
ISO라는 파일로 쉽게 말하면 CD 한 장이라고 보면 된다.
이제 이 CD안에 들어있는 내용들을 이식해서
OS를 설치할 수 있게 해주는 USB 로 바꿔야 한다.
딱 들어가면 저 화면이 나온다.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켜도
딱 저 대화창이 나온다.
아래로 조금 내리면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인터넷에 연결해서 업데이트를 확인할거냐 라고 물어보는데
최신버전인지 아닌지 확인해주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눌러서 검사를 한번 해주고 다음을 진행하자.
따로 설치 없이 바로 저 창이 뜬다.
USB저장장치를 꽂아두었다면 바로 빈 USB를 찾아서 잡아준다.
라벨은 크게 중요하지 않고
"E:" , "F:" 이런 드라이브 명이 중요하다.
E:드라이브가 정상적으로 잡혀있으니까 그 다음을 보면 부트선택이 있다.
아까 말한것 처럼 ISO파일을 선택해 주면
부팅할때 읽을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준다.
선택 박스를 클릭하면 우리가 우분투 홈페이지에서 받아둔 ISO파일을 찾아갈 수 있다.
우분투 ISO를 선택한 화면이다.
시작을 누르면 진행된다.
저런 경고창이 뜨는데 예를 눌러서 나머지 필요한 부분을 다운로드 받고 진행하자.
권장하는건 괜히 권장하는게 아니다.
이것도 ISO 모드로 OK 하자.
이런 섬뜩한 문구가 뜨는데
실재로 부팅USB를 만들면 내용물을 모두 지우고 진행한다.
사용중이었던 USB라면 취소를 누른 후
다이소에 다녀와야한다. (파티션을 나누는 방법도 있다)
백업이 필요하면 백업을 해 두도록 하자.
나는 비어있는 USB라서 확인을 누르고 진행.
시간은 다소 걸린다.
이렇게 되면 USB를 제거해주자.
//6
그 다음은 이 USB를 꽂은 상태에서 깡통컴퓨터를 부팅시켜준다.
이때 키보드는 반드시 연결되어 있어야한다.
이런 화면이 안나올 수도 있다.
그러면 바이오스에서 아까 꽂아준 USB를 선택해서
이 화면이 나오도록 해주면 된다.
조금 기다리면 자동으로 넘어간다.
언어를 선택하는 화면이다. 한글은 찾지말자.
어차피 오류가 떴을때 한글로 검색하면 나오지도 않는다.
그리고 몇 가지 단어가 한글로 번역되는 정도의 수준이기 때문에
해석에도 크게 도움이 안된다.
그냥 영어를 선택하고 엔터.
최신 버전의 인스톨러가 있다는 메세지이다.
LTS를 일부러 골라온 것이기 때문에
두번째를 선택해서 업데이트 없이 진행한다.
키보드가 어떤 레이아웃으로 되어있는지 선택하는 화면이다.
Identify keyboard를 선택하면 몇가지 질문에 대답하고
현재 키보드를 잡아낼 수 있다.
나는 그냥 영어로 했다.
우리나라 표준 키보드를 쓴다면 그냥 영어로 해도 무관하다.
프록시 어드레스를 쓰는 사람의 경우 이 설정이 꼭 필요하다.
그런데 프록시 어드레스가 뭔데? 라는 질문이 들면
프록시 어드레스를 쓰는 사람이 아니다!
그냥 Done을 선택해 주자.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화면이다.
집에서 인터넷 공유기를 사용한다면 더 수정할 부분이 없다.
이건 나중에 네트워크 관련해서 더 포스팅할때 다시 수정하면 되니까
지금은 이대로 둔다.
여기서 고정IP를 잡아서 어떻게 해보려고 하다가
잘 안되는 순간 삽질이 시작되기 때문에
그냥 DHCP방식으로 네트워크를 잡아서 진행되도록 하게하고
나중에 따로 설정을 하는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미러주소 선택란이다.
리눅스 업데이트 같은게 있으면
어디로 가서 가운받아올거냐 하는건데
이것도 기본으로 남겨둔다.
이쯤되면 눈치챈 사람들도 있을텐데
그냥 다 기본 설정으로 해도 잘 돌아간다.
전문가들은 이것저것 만지겠지만 전문가가 아니니까
블로그를 참고하는거 아니겠나 싶다.
나도 그랬고.
스토리지를 어떻게 배분하고 사용할건지 결정할 수 있다.
LVM은 logical volume management의 약자이다.
서버는 한번 켜지면 끄지 않도록 운영이 되기 때문에
파티션을 변경할때도 끄지 않고 할 수 있어야한다.
그런 기능이라고 보면 된다.
체크는 스페이스바로 할 수 있다.
이것도 그냥 넘어가자.
저장공간을 어떻게 나눠쓸거냐 하는건데
[2021.04.19 수정]
파티션을 굳이 나눠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냥 넘어가면 된다.
그냥 넘어가면 안된다!
지금 아주 곤란한 상황을 겪고 있는데
이유는 LVM이 default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 전체를
잡지 않는다는 것이다.
무슨 소리인고 하니
FILE SYSTEM SUMMARY의 항목중
/ 에 마운트되어있는 파티션을 보면
new LVM logical volume이고
200G밖에 사용을 안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는 1T의 SSD를 달았는데
저것밖에 설정이 안되어있어서
훈련용 데이터를 받는데
컨테이너가 퍼져버리는 현상이 발생했다.
mounted at / 라는 말은
리눅스의 최상위 디렉토리인 '/'에 마운트되어있는
그러니까 우리가 이 우분투로 쓸 수 있는 공간이라는 말이다.
따라서 USED DEVICE와 FILE SYSTEM SUMMARY의
저 공간을 반드시 최대용량으로 바꿔주어야한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반드시
저 부분을 주의해서 바꿔주자 ㅠㅠ
이건 내용물이 다 지워지는데 괜찮냐 라고 물어보는거다.
내용물이 없으니 계속을 눌러준다.
이름과 패스워드를 설정해 주는곳.
세번째 란에서 고른 유저네임이 관리자 이름이 된다.
다 설정했으면 다음.
SSH는 원격으로 서버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이다.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반드시 인스톨에 채크해주고 설치하자.
이건 사람들이 우분투를 깔때 같이 까는 프로그램 top10같은거다.
나중에 필요한 것들만 골라서 깔아줄 수 있으니 그냥 넘어가자.
설치가 시작되는데 밑에 보면 [업데이트 캔슬하고 리부트하기] 라고 되어있다.
그리고 위에 로그를 보면
보안업데이트 라고 되어있고 그옆에 뭐가 뱅글뱅글 돌아가고 있다.
이게 다 될때까지 기다렸다가
요렇게 바뀌면 리부트를 눌러서 리부트 하자.
이건 아까 우리가 우분투를 설치하기 위한 USB를 빼지 않아서 생긴 오류다.
당황하지말고 USB를 빼고 엔터를 치면 된다.
뭐가 쭈루룩 뜬다. 성공한거다.
이렇게 되고 멈춘다.
나는 뭐가 진행중인줄 알고 한참을 기다렸다.
엔터를 치니까 넘어가지더라.
그냥 낚인거였음.
엔터를 치면 로그인 하라고 나온다.
유저 이름이랑 비밀번호를 쳐서 로그인 해주자.
그러면 성공이다.
내가 위에서 기다린 이유가 저건데
아래를 보면 davi@davihomeworkstation:~$ 이렇게 시작한다.
명령어를 실행하는 주체와
명령어가 실행되고 있는 위치가 명시된 상태가
터미널에서의 대기상태라고 보면 된다.
이 상태가 되기전에는 컴퓨터가 무슨 작업을 하는 중이다.
하지만 위에서 내가 낚인것 처럼 아닐수도 있다!
의심될때는 엔터를 한번만 때려보면 된다.
아직은 아무 작업도 할 수없는 상태고
네트워크 세팅도 남아있으므로
우분투를 끄는 명령어를 통해서 요놈에게 첫번째 명령을 내려보자.
컴퓨터가 바로 꺼지면 성공이다.
'Backend MLOps > 개인 환경 구축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자취방 워크스테이션 ] #6 포트포워딩 및 네트워크 설정 - 3 (0) | 2020.12.16 |
---|---|
[ 자취방 워크스테이션 ] #5 포트포워딩 및 네트워크 설정 - 2 (0) | 2020.12.16 |
[ 자취방 워크스테이션 ] #4 포트포워딩 및 네트워크 설정 (3) | 2020.12.15 |
[ 자취방 워크스테이션 ] #2 화면 기본 세팅 (0) | 2020.12.05 |
[ 자취방 워크스테이션 ] #1 첫걸음을 내딛어보자. (0) | 2020.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