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황
아주 국한된 상황에서 쓸 수 있는 방법이다.
그리고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알아두면 좋다.
우선 df, du, 모두가
내가 산 저장장치의 용량보다 작은데
lsblk, fdisk -l 과 같은 명령어로 보면
또 내가 산 용량이 보인다.
컴퓨터를 사고 나서
추가 저장장치를 연결한 적이 없으며
그냥 처음에 하나 사서 연결했는데
200GB정도밖에 보이질 않는다.
이럴 경우 해결방법이다.
// LVM
우선은 우분투를 설치할때
LVM이라는 녀석을 설정하게 되는데
이걸 잘못 설정하면 200GB 정도밖에
사용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래서 LVM설정하는 방법을 쭉 찾아보면
너무 자료가 어려워 보인다.
그런데
# 최대 사이즈로 my_LV확장
sudo lvextend -l +100%FREE /dev/my_LV
# 확장된 LV적용
sudo resize2fs /dev/my_LV
이 코드 하나만 알면 다 해결된다.
보통의 경우는
그러니까 새로 추가적인 저장장치를 연결한 경우는
PV( physical volume )을 새로 생성하고
VG( volume group )을 만들어서 PV를 넣고
LV( logical volume )을 그 안에 만들어서
컨트롤 하는 과정을 따르기 때문에
엄청나게 복잡해 보이는데
사실 설치당시 잘못 설치를 해서
LV만을 조금 할당받은 경우라면
PV와 VG는 모두 최대 크기로
잘 설정되어있을 확률이 크다.
확인하기 위해서
pvdisplay, vgdisplay를 입력해보면
내가 사서 꼽은
그 저장장치의 스펙이 보일 것이다.
그러면 위의 lvextend만 해주면
lv를 최대로 늘릴 수 있다.
PV, VG, LV 모두 설정을 해야하는 상황이라면
hiseon.me/linux/lvm-configuration/
LVM 설정 구성 예제 - HiSEON
LVM 설정 구성 예제 LVM 설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LVM 구성 방법과 LVM 예제를 pvcreate, lvcreate, vgcreate 등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우분투에서 LVM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
hiseon.me
여기 블로그를 참고하기 바란다.
설명이 가장 잘 되어있는 것 같다.
'삽질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Ubuntu 삽질 ] 우분투 BusyBox initramfs 파티션 오류 해결방법 (0) | 2021.04.24 |
---|---|
[ Ubuntu 삽질 ] SSH 접속이 안될때 해결법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0) | 2021.03.15 |
[ Ubuntu 삽질 ] 우분투 서버 부팅 시 특정 계정으로 자동 로그인 (0) | 2021.03.13 |
[ Ubuntu 삽질 ] 우분투에서 그래픽카드 확인하기 (6) | 2021.03.10 |
댓글